[O(n²)] 버블 정렬
[O(n²)] 선택 정렬
[O(n²)] 삽입 정렬
[O(nlogn)] 퀵 정렬
[O(nlogn)] 병합 정렬
[O(kn)] 기수 정렬

[O(n²)] 버블 정렬(Bubble Sort)
장점
- 인접한 값만 계속해서 비교해 구현이 쉽다.
- 코드가 직관적이다.
단점
- 최악이든 최선이든 **O(n²)**이라는 시간복잡도를 가지고 있어 비효율적이다.
[O(n²)] 선택 정렬(Selection Sort)
장점
- 버블정렬과 마찬가지로 구현이 쉽다.
- 비교 횟수는 많지만 실제로 교환하는 수가 적어 많은 교환이 일어나야 하는 자료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버블정렬과 비교했을 때, 똑같이 **O(n²)**의 시간복잡도를 갖지만, 실제로는 버블정렬에 비해서는 조금 빠르다.
단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