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연관관계를 설정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다.
테이블 간 관계
는 주로 조인 컬럼이라 부르는
외래키 컬럼을 사용해서 관리
한다.

예) 회원과 사물함이 있는데 각각 테이블에 데이터를 등록했다가 회원이 원할 때 사물함을 선택할 수 있다고 가정
회원이 사물함을 사용하기 전까지는 아직 둘 사이에 관계가 없으므로 MEMBER 테이블의 LOCKER_ID 외래키에 null을 입력해야 한다.
이렇게 외래키에 null을 허용하는 관계를 선택적 비식별 관계라 한다.
선택적 비식별 관계는 외래키에 null을 허용하므로 회원과 사물함을 조인할 때 외부 조인을 사용해야 한다.
실수로 내부 조인을 사용하면 사물함과 관계가 없는 회원은 조회되지 않는다. 그리고 회원과 사물함이 아주 가끔 관계를 맺는다면 외래키 값 대부분이 null로 저장되는 단점이 있다.
조인 테이블이라는 별도의 테이블을 사용
해 연관관계를 관리한다.

조인 컬럼을 사용하는 방법은 외래키 컬럼만 추가해서 연관관계를 맺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