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
- 메모리의 연속된 공간에 값이 채워져 있는 형태의 자료구조
- 배열의 값은 인덱스를 통해 참조할 수 있음
- 선언한 자료형의 값만 저장 가능
- 배열을 생성한 후 새로운 값을 삽입하거나 특정 인덱스에 있는 값을 삭제하기 어렵다. 값을 삽입, 삭제하려면 해당 인덱스 주변에 있는 값을 이동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 배열의 크기는 최초 선언할 때 지정할 수 있으며, 그 이후에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없다.
- 구조가 간단하다.
리스트
- 리스트는 값과 포인터를 묶은 노드라는 것을 포인터로 연결한 자료구조이다.
- 노드 : 컴퓨터 과학에서 값, 포인터를 쌍으로 갖는 기초 단위를 부르는 말이다.
- 인덱스가 없으므로 값에 접근하려면 Head 포인터부터 순서대로 접근해야 한다. 그래서 값에 접근하는 속도가 느리다.
- 포인터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연산 속도가 빠르다.
- 선언할 때 크기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리스트의 크기는 정해져있지 않으며, 크기가 변하기 쉬운 데이터를 다룰 때 적절하다.
- 포인터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므로 배열보다 구조가 복잡하다.
숫자의 합 구하기
11720번: 숫자의 합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숫자_합_구하기_1172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int num = scan.nextInt();
int[] arr = new int[num];
int sum = 0;
for(int i=0; i < arr.length; i++) {
arr[i] = scan.nextInt();
sum += arr[i];
}
System.out.println(sum);
}
}
평균 구하기
1546번: 평균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평균_1546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int cnt = scan.nextInt();
float[] arr = new float[cnt];
float sum = 0;
for(int i=0; i < arr.length; i++) {
arr[i] = scan.nextFloat();
sum += arr[i];
}
System.out.println(sum / cn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