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하나의 컴포넌트는 오로지 한 가지 일만 해야 하고, 그것을 올바르게 수행해야 한다.
</aside>
이는 좋은 조언이지만 단일 책임 원칙의 실제 의도는 아니다.
‘오로지 한 가지 일만 하는 것’은 단일 책임이라는 말을 가장 직관적으로 해석한 것이므로, 단일 책임 원칙을 자주 위와 같이 해석한다. 하지만 단일 책임 원칙이라는 이름에 오해의 여지가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단일 책임 원칙의 실제 정의
<aside> 💡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이유는 오직 하나뿐이어야 한다.
</aside>
‘책임’은 사실 ‘오로지 한 가지 일만 하는 것’ 보다는 ‘변경할 이유’로 해석해야 한다.
만약 컴포넌트를 변경할 이유가 오로지 한 가지라면 컴포넌트는 딱 한 가지 일만 하게 된다.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변경할 이유가 오직 한 가지라는 그 자체다.
아키텍처에서의 의미
만약 컴포넌트를 변경할 이유가 한 가지라면 우리가 어떤 다른 이유로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더라도 이 컴포넌트에 대해서는 전혀 신경 쓸 필요가 없다. 소프트웨어가 변경되더라도 기대한 대로 동작할 것이기 때문이다.
안타깝지만 변경할 이유는 컴포넌트 간의 의존성을 통해 너무도 쉽게 전파된다.

어떤 컴포넌트의 의존성 각각은 이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이유 하나씩에 해당한다. 점선 화살표처럼 전이 의존성이라고 하더라도 말이다.
그림에서 컴포넌트 A는 다른 여러 컴포넌트에 의존하는 반면 컴포넌트 E는 의존하는 것이 전혀 없다.
컴포넌트 E를 변경할 유일한 이유는 새로운 요구사항에 의해 E의 기능을 바꿔야 할 때뿐이다. 반면 컴포넌트 A의 경우 모든 컴포넌트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어떤 컴포넌트가 바뀌든지 같이 바뀌어야 한다.
많은 코드는 단일 책임 원칙을 위반하기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변경하기가 더 어려워지고 그로 인해 변경 비용도 증가한다. 시간이 갈수록 컴포넌트를 변경할 더 많은 이유가 쌓여가고, 많이 쌓인 후에는 한 컴포넌트를 바꾸는 것이 다른 컴포넌트가 실패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계층형 아키텍처에서 계층 간 의존성은 항상 다음 계층인 아래 방향을 가리킨다. 단일 책임 원칙을 고수준에서 적용할 때 상위 계층들이 하위 계층들에 비해 변경할 이유가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영속성 계층에 대한 도메인 계층의 의존성 때문에 영속성 계층을 변경할 때마다 잠재적으로 도메인 계층도 변경해야 한다. 그러나 도메인 코드는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코드다. 영속성 코드가 바뀐다고 해서 도메인 코드까지 바꾸고 싶지는 않다.